
HTML5 (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나타낼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이며 차세대 웹 표준으로 확정된 HTML의 5번째 버전을 의미한다. 기존의 웹 문서에서는 HTML 만으로 웹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HTML5로 넘어오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부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외부 Active-x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기능이 추가되었다. [ HTML 발전의 순서? ] [ HTML5의 등장? ] : HTML은 왜 각광받기 시작했는가 과거 HTML은 순수한 HTML만으로 표현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플래쉬, Active-..
크로스 브라우징 이란? 웹 페이지 제작 시에 모든 브라우저에서 깨지지 않고 의도한 대로 올바르게(호환성) 나오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HTML, CSS, Javascript 작성 시 W3C의 웹 규격에 맞는 코딩을 함으로써 어느 브라우저, 기기에서 사이트가 의도된 대로 보여지고 작동되는 기법.] 크로스 브라우징 작업이 필요한 원인은 무엇일까? 브라우저 마다 랜더링 엔진이 다르기 때문이다. 작동되지 않는 HTML5, Javascript 코드가 존재 해석하지 못하는 CSS 코드 존재 브라우저 버그들이 존재 브라우저마다 자체적인 CSS 스타일 *IE를 버전마다 크로스 브라우징하는 이유.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가 되는 브라우저가 많으나 IE는 해당되지 않는다. IE는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하..
요약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임시적인 용도로 저장 할 때 사용하는 것 대부분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하는 사용처에 따라 쿠키, 세션스토리지, 로컬스토리지를 적절히 사용해야한다. 대부분 임시적인 용도의 데이터나 캐시, history 기능을 위해 사용한다. 글 작성 중간에 임시로 글을 저장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form) 쇼핑몰의 장바구니, 좋아하는 콘텐츠(찜, 좋아요와 같은 기능들)등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를 저장 할 때 사용한다. 방문자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였다가 이동 시에 사용한다. 그 외 서버에 저장할 필요가 없는 정보들을 저장 할 때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보안적인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을 저장할 때 사용하면 안된다. 쿠키 브라우저 요청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

스토리지 쿠키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든 기술이다. key, value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의 자원이 사용하므로 서버의 공간이 필요하다. 기기마다 차이는 있으나 모바일 2.5MB, 데스크탑 5MB~10MB정도 저장 가능하다. 쿠키 보다 보안이 우수하며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로 나뉘며 데이터의 만료에 따라 나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는 한) Local Storage = 만료기한 없음, Session Storage = 세션 종료 시 만료. 데이터의 세션이 끝나면(브라우저 종료) 데이터가 지워진다.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예시 직방에서 클라이언트의 history 추적을 위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