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전역 스코프에 정의된 것은 코드 내의 어디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는 합니다. 이때 외부에 공유되면 안되거나 충돌날 위험이 있는 경우 즉시 실행 함수를 통해 해결하고는 합니다. 즉시 실행 함수(IIFE) 단순하게 함수와의 차이를 보자면 즉시 실행되는지 아닌지의 차이입니다. 함수표현식은 함수를 정의하고, 변수에 함수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즉시실행함수는 이러한 과정없이 즉시 실행됩니다. 문법의 차이는 단순히 함수를 괄호 "()"로 랩핑한다는 것입니다. 형태 (function() { console.log('즉시 실행 함수'); }()); var now = (function () { console.log('즉시 실행 함수') })(); 익명, 기명 즉시..
pull 받기 전 충돌날 것 같으면 사용합니다. 1.커밋하지 않은채로 스태시 버튼 클릭 2.스태시 이름을 정해주고 확인클릭 3.스태시 하위에 내가 저장한 목록확인, 커밋해야하는 파일들 사라진것을 확인 4.Pull 받아서 최신으로 업데이트 5.스태시에서 마우스 우클릭 > 스태시 적용 클릭 6.적용 후 내가 수정했던 소스 적용된 것 확인하기. 이후 commit, push 진행 (정상적인지 파일 확인은 필수) 7.스태시 삭제 git bash에서 작업시 1.Stash 생성 git stash 또는 git stash save 2.Stash 리스트확인 git stash list 3.Stash 적용 git stash apply 또는 git stash apply [stash이름] 또는 git stash apply --i..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서드
- 타입스크립트
- 리액트
- TypeScript
- 제로초
- 코딩애플
- 아티클
- 뷰
- Method
- 기초
- 브라우저
- React
- 자바스크립트
- css
- 공부
- frontend
- 차이
- 제이쿼리
- 통신
- Study
- vue.js
- jQuery
- JavaScript
- JS
- 강의
- VUE
- html
- 프로젝트
- 프론트엔드
- Artic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