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Vue 쓸까? React 쓸까? 개발자의 취향 + 팀환경 +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고를 수 있을듯하다. 빠르게 MVP 만들고 싶은 스타트업 / 프로토타입Vuev-model, 템플릿 문법, ref() 만으로도 빠른 UI 구현 가능학습 부담이 적고 디자이너/퍼블리셔도 진입 장벽이 낮다작은 팀에서 생산성 우선이라면 효율적이다 대규모 팀, 복잡한 상태 관리, 모듈화, 협업 중요React단뱡향 데이터 흐름은 유지보수, 디버깅, 테스트에 최적화 되어있다.상태와 로직 분리가 깔끔하고 커스텀 훅 기반으로 확장성이 좋다.Typescript + React + TanStack Query + Zustand/Redux 조합 = 실무에서 안정성, 구조화 조합에 좋다. UI/UX 실험 위주, 애니메이션이 많은 앱 (..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과 MVVM (Vue, React)UI(View)와 데이터(Model)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기술즉, 데이터가 바뀌면 UI도 자동으로 바뀌고 UI가 바뀌면 데이터도 자동으로 바뀌는 연결 구조 종류타입설명예시단방향 바인딩(One-way)데이터 -> UI만 반영React 기본 방식 (Props)양방향 바인딩 (Two-way)데이터 UI 상호 반영Vuew의 v-model, Angular의 {(ngModel)} MVVM (Model-View-ViewModel) 패턴데이터 바인딩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아키텍쳐 패턴구성요소역할Model실제 데이터 또는 상태 (API 응답, 사용자 정보 등)View화면(UI)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ViewModelView와 Mo..

자바스크립트 쓰로틀링(Throttling), 디바운싱(Debouncing) 성능 최적화자바스크립트 쓰로틀링(Throttling)과 디바운싱(Debouncing)은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핵심 기법이다.고빈도 이벤트(스크롤, 리사이즈, 입력 등)에서 과도한 호출을 방지하고 성능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쓰로틀링 (Throttling)일정 시간 간격으로 함수를 강제로 실행하게 제한한다. 즉, N초에 한번만 실행되게 만든다는게 핵심이다.사용자의 행동이 빈번하지만 일정 간격으로만 반응하면 충분한 경우에 사용된다. (주기적으로 처리)스크롤 위치 저장윈도우 리사이즈 예시사용자가 아무리 스크롤을 해도, 200ms에 한번만 로그 출력window.addEventListener('scroll', throttle(() => ..
브라우저 VS Node.js의 이벤트 루프 차이 브라우저 이벤트 루프(Event Loop)란브라우저의 이벤트 루프에 대해서는 지난글에 다뤘으니, 링크만 걸어두겠다.[챗지피티와 공부를 해보자] 이벤트 루프와 비동기 처리 + 가비지 컬렉션과의 연관 Q. 브라우저 이벤트 루프 관련해서만 요약해줘A. 해당 블로그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 루프와 비동기 처리, 그리고 가비지 컬렉션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이벤트 루프(Event Loop)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기반으로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실행할 수 있다.하지만 비동기 작업(예: HTTP 요청, setTimeout)을 처리하기 위해 이벤트 루프 메커니즘을 사용한다.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Call S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