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요 시간 관련 용어 정리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세계 표준 시간이며 한국(KST)보다 9시간 느리다.
자바스크립트에서 new Date().toISOString()시 항상 UTC 기준이다.
KST (Korea Standard Time)
한국 표준시이며 자바스크립트에서 new Date()시 브라우저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로컬 타임존(KST)을 반영한다.
ISO 8601 String
시간의 표준 표현 포맷으로 기계나 인간이나 모두 이해하기 좋다.
2025-04-20T10:00:00.000Z → UTC 기준 (Z는 Zulu time = UTC)
2025-04-20T19:00:00+09:00 → KST 기준
자바스크립트로 new Date().toISOString()시, 항상 UTC 기반의 ISO 문자열 기준이다.
Timestamp
1970년 1월 1일 00:00:00 UTC부터의 밀리초(ms) 경과 시간이다.
Date.now() → 1713584640000 (2025-04-20T09:04:00 기준)
주로 백엔드, DB, 비교 연산 등에 사용된다.
예시
const now = new Date();
now.toString(); // KST: "Sun Apr 20 2025 18:00:00 GMT+0900"
now.toISOString(); // UTC: "2025-04-20T09:00:00.000Z"
now.getTime(); // timestamp: 1713603600000 (ms)
Q. Timestamp는 왜 1970년 1월 1일 00:00:00 기준일까?
A. 컴퓨터에서 시간 계산의 기준점(epoch)으로 유닉스 시간(Unix Time)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Unix 시스템의 기준점 (Epoch Time)
1970년 1월 1일 00:00:00 UTC는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시간의 시작점이다.
이 시점부터 흐른 시간을 초 또는 밀리초 단위로 표현해서 시간 계산이 간단해진다.
- 예시: 1713626802000 → 1970년 이후 1조 7천억 밀리초 지난 시간
역사적 배경으로는 1969년에 처음 등장한 Unix OS가 1970년 1월 1일을 epoch로 지정했다.
- epoch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 시간을 언제부터 셀지 정한 출발선)
당시에 개발 시점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깔끔하고도 단순화 시킬수 있는 시작점'이었기 때문에 계산 단순화의 목적으로 지정되었다.
즉, 그 시점 이후부터 시간 다루기 편하게 하려는 실용적 선택이다.
반응형
'개념 > 2025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의 동시성 기능 (Concurrent Features) (0) | 2025.04.24 |
---|---|
React의 예측 가능한(predictable) UI를 위한 설계 철학 (0) | 2025.04.23 |
자바스크립트 힙 (Heap) (1) | 2025.04.20 |
React 18에서 Strict Mode (0) | 2025.04.20 |
클라이언트에서 API 호출할때 사용하는 도구에는 뭐가 있을까? (fetch, axios, TanStack Query, SWR) + graphql, firebase, supabase (0) | 2025.04.10 |
프로젝트에서 Vue 쓸까? React 쓸까? (0) | 2025.04.06 |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과 MVVM (Vue, React) (0) | 2025.04.06 |
자바스크립트 쓰로틀링(Throttling), 디바운싱(Debouncing) 성능 최적화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