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자체에 좋은 내용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길게 말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다보니 조금 지루해지기 시작했고 내 스타일의 도서가 아니란 것을 알게되었다. 또한 오래된 도서였기 때문에 현재의 유행(?)과는 조금 다른 부분도 충분히 존재하는 것 같았다. 이것과 관련해서 동료와 얘기를 했었는데,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들도 있었다. (정답은 없기때문이지..) 여태 읽은 내용은 머리에 잘 세겨두도록하고 다른 도서로 갈아타야겠다. 05. 형식 맞추기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착실히 따라야 한다. 팀으로 일한다면 팀이 합의하여 규칙을 정한다. 필요하면 규칙을 자동으로 적용하는 도구를 활용한다. 형식을 맞추는 목적?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늘 구현한 기능이 다음 버전에..
클린코드 - 04. 주석 주석은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잘 달린 주석은 그 어떤 정보보다 유용할 수 있지만 반대라면?.. 오히려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개발자들이 의도에 맞게 코드를 정확히 작성한다면 (=표현) 주석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코드의 의도를 보충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석도 유지보수가 되어야하는 불편함이 생기기 때문에 필요할지라도 우리는 주석의 수를 줄이는데 노력해야합니다. 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하며 코드로 의도를 표현해야합니다. 좋은 주석이란? (최고의 주석은, 주석을 달지 않는 방법) 법적인 주석 저작권 정보와 소유권 정보는 필요하고도 타당합니다. 정..
클린코드 - 03. 함수 어떤 프로그램이든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함수이다. 우리는 어떤 함수를 읽었을때 프로그램 내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까? 작게 만들어라 블록과 들여쓰기 중첩 구조가 생길 만큼 함수가 커지면 안된다. (if else문 등 주의하여 쓰자) 블록 안에서 호출하는 함수 이름을 적절히 짓는다면 코드를 이해하기 쉽다. 한가지만 해라 예시: 1. 페이지가 테스트 페이지인지 판단 => 2. 설정 페이지와 해제 페이지를 넣는다 => 3. 페이지를 HTML로 렌더링한다. 추상화 수준이 하나인 단계만 수행한다면 그 함수는 한가지 작업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더이상 줄이기가 불가능 하며 if, else를 따로 뺀다고 해도 다른 표현일 뿐 추상화 수준이 바뀌지 않는다. 함수 당 추상화 수준은 하나로..
클린코드 - 02. 의미있는 이름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 변수(혹은 함수나 클래스) 존재이유? 수행기능? 사용방법? 이 모든 것을 답하기 위해 주석이 필요하다면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지 못했다는 뜻. 그릇된 정보를 피하라 그릇된 단서는 코드의 의미를 흐린다 나름대로 널리 쓰이는 의미가 있는 단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해도 안된다 실제 컨테이너가 List가 아닐 경우 List로 명명하면 그릇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렇게 명명하지 않는다 실제 List여도 컨테이너 유형의 이름에 넣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한 개념은 유사한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름만 보고 정보를 추측하기 때문에 일관성이 떨어지는 표기법은 그릇된 정보다 연관성이 없는 것에 대해 비슷한 단어를 사용했을 경우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기 때문에 ..
- Total
- Today
- Yesterday
- vue.js
- Method
- 뷰
- React
- 브라우저
- Study
- 메서드
- 기초
- 강의
- 리액트
- 자바스크립트
- JS
- Article
- css
- 아티클
- 공부
- 제로초
- html
- 차이
- 타입스크립트
- 프로젝트
- 프론트엔드
- TypeScript
- VUE
- JavaScript
- 코딩애플
- jQuery
- frontend
- 제이쿼리
- 통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