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Rest 파라미터 - 스프레드(Spread) 연산자와 Rest 파라미터 Spread 연산자로 파라미터를 작성한 형태를 Rest 파라미터라고 한다.function(param, paramN, ...rest);const number = [1,2,3]getNum(...number); function getNumt(num1, num2, num3){ console.log(num1, num2, num3); } 결과 값num1 = 1num2 = 2num3 = 3 호출하는 함수의 파라미터에 3개의 값을 쓰고 호출받는 함수의 파라미터를 2개의 값만 썼을 경우 3번째 파라미터 값은 설정되지 않는다.(예제1)이때,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배열 엘리먼트로 저장할 수 있다.(예제2)(예제1) getNum(...[..
01. Spread 연산자 - 스프레드(Spread) 연산자와 Rest 파라미터 iterable object의 element를 하나씩 분리하여 전개한다.iterable 객체는 반복 객체로써 객체의 원소에 하나씩 차례로 접근 가능하다. ' ... ' 점 세개로 시작해서 뒤에 이터러블 오브젝트를 써주면 된다.[...iterableObj]function(...iterableObj){ } 예시let first = [1,2];let last = [9,10];let result = [...first, 3,4,5,6,7,8, ...last]; console.log(result); 결과 값1,2,3,4,5,6,7,8,9,10 ...first를 전개하여 1,2의 값을 result의 배열에 넣어준다.그 후 3~8까지의 숫..
백엔드와 작업 시 파라미터 값을 보내야 하는 일이 빈번한데, 이번에 처음 겪은 이슈가 있어 작성해둔다. 이건 내가 작성한 ajax 코드가 아니었고, 유지보수 업무였다. (ajax 옵션을 잘 몰랐던 문제가 가장 컸다) 아래와 같이 작성했던 ajax 코드가 있었다. 데이터가 전송이 안되서 문제를 찾아보던 중에 processData를 알게되었다. JS $.ajax({ url : '', processData : false,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data : { id : 'abcd' }, type : "GET", success : function(res){ //....... } }); processData 란? 기본값은 true다. ajax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