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 VS Node.js의 이벤트 루프 차이 브라우저 이벤트 루프(Event Loop)란브라우저의 이벤트 루프에 대해서는 지난글에 다뤘으니, 링크만 걸어두겠다.[챗지피티와 공부를 해보자] 이벤트 루프와 비동기 처리 + 가비지 컬렉션과의 연관 Q. 브라우저 이벤트 루프 관련해서만 요약해줘A. 해당 블로그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 루프와 비동기 처리, 그리고 가비지 컬렉션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이벤트 루프(Event Loop)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기반으로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실행할 수 있다.하지만 비동기 작업(예: HTTP 요청, setTimeout)을 처리하기 위해 이벤트 루프 메커니즘을 사용한다.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Call Stack)..

개발일때에는 development, 배포일때에는 production로 process.env.NODE_ENV를 구분해서 webpack의 설정을 진행해야하는 경우들이 있다. 예를 들면... 보안에 안좋아서 옵션을 달리해야한다던가..? 맥에서는 명령어만 삽입해도 진행이 되는데, windows에서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줘야한다. cross-env는 이때 운영체제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env 변수를 주입해주는 패키지이다. 이것을 사용하면 동적으로 process.env(환경 변수)를 변경할 수 있다. 설치 npm i cross-env 사용할 커맨드 앞에 cross-env 를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package.json 사용 전 "scripts": { "dev": "next -p 3060",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