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토리지 쿠키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든 기술이다. key, value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의 자원이 사용하므로 서버의 공간이 필요하다. 기기마다 차이는 있으나 모바일 2.5MB, 데스크탑 5MB~10MB정도 저장 가능하다. 쿠키 보다 보안이 우수하며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로 나뉘며 데이터의 만료에 따라 나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는 한) Local Storage = 만료기한 없음, Session Storage = 세션 종료 시 만료. 데이터의 세션이 끝나면(브라우저 종료) 데이터가 지워진다.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예시 직방에서 클라이언트의 history 추적을 위해 사용한다.

스토리지 쿠키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든 기술이다. key, value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의 자원이 사용하므로 서버의 공간이 필요하다. 기기마다 차이는 있으나 모바일 2.5MB, 데스크탑 5MB~10MB정도 저장 가능하다. 쿠키 보다 보안이 우수하며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로 나뉘며 데이터의 만료에 따라 나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는 한) Local Storage = 만료기한 없음, Session Storage = 세션 종료 시 만료. 데이터의 만료기간이 없으며 사용자가 데이터를 지우지 않은 한 영구적으로 보존된다. 사이트 재 방문시 이전에 저장되었던 정보를 이용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사용자 설정 저장, 브라우저를 ..

쿠키(Cookie) 클라이언트 로컬(하드)에 저장되는 key, value값이 들어 있는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안과 상관없는 정보들에 사용한다. 재 요청 시 저장된 값을 참조, 재사용 한다. 사용자의 하드에 저장되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해킹 등의 악용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에 300개, 하나의 도메인에 20개의 값만 저장이 되며 하나의 쿠키는 4KB까지 저장 가능하다. 이름, 값, 만료 날짜(저장 기간), 경로 정보가 있어야하며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같은 도메인 상에서 쿠키의 값은 공유된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 요청이 있을 경우 Request Header에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예시1 ~ 동안 열지 않기 프로세스 추측 3일..

CND이란? 나는 jQuery나 js라이브러리, GoogleFont 등 위주로 많이 들어봤는데, 뭐 남의 서버에 있는거 가져다가 사용하는거 정도로 알고 있었다. 네이버 백과님께 물어봤더니 아래와 같이 답해주시더라. 게임 클라이언트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분산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즉, 남의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빌려다가 사용한다는 거다. 근데, 솔직히 말하면 작업할 때, CDN 잘 안쓴다. 왜? 읽어봅시당 >> https://xetown.com/tips/793706 제발 해외 CDN 좀 사용하지 맙시다. 국내 통신 3사 중 최소 한두 군데는 저녁때마다 해외 접속이 느려지곤 합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해외 사이트가 https인데, 이러면 훨씬 더 느려집니다. 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