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글React의 가상 DOM, Vue의 가상 DOM과 비교 (동작방식) 가상돔 (Virtual DOM)과 React Fiber 구조 가상돔 (Virtual DOM) 이란? 가상돔은 실제돔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개념이다. React(Vue, Preact 등....)에서 UI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DOM (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은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해석하여 트리 구조(객체 모델)로 표현한 것이다. 즉, HTML을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객체 형태의 구조.DOM을 통해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요소를 조작할수있다.기존 DOM을 직접 조작하면 성능 비용이 크고 DOM의 업데이트가 많아질수록 느려진다는 기존 DOM의..
React의 가상 DOM, Vue의 가상 DOM과 비교 가상 DOM이란?DOM (Document Object Model)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문서 객체 모델HTML 요소를 트리 구조로 표현하며, 브라우저에서 렌더링되는 실제 DOM을 말한다.실제 DOM은 업데이트가 발생할때마다 전체 DOM 구조를 다시 계산하고 렌더링한다. 가상 DOM (Virtual DOM)메모리 상에서 실제 DOM의 경량화된 사본을 만드는 개념으로 DOM 상태를 Javascript 객체로 나타내어 빠르게 연산할수 있다. 실제 DOM 조작 전에 변경 사항을 비교하고 필요한 부분만 실제 DOM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성능 최적화를 하기 위하여 생성된다.리액트는 가상 DOM을 업데이트 할때 최소한의 DOM 업데이트를 보장하기 때문에 복잡한 ..

사용자 동작을 나열하며 간략히 공부해보자. >>> 사용자 동작 시작 1. https://okayoon.tistory.com/ 를 검색한다. 2. DNS(Domain Name System)에서 주소를 검색, 해당 ip 주소를 찾아서 사용자가 입력한 URL과 함께 전달한다. - 이때 캐싱된 DNS 기록이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3. 전달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게 해당 웹 사이트의 리소스를 요청하고 해상 웹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한다. >>>> 전달받은 리소스를 통해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시작 4. DOM Tree 구축을 위해 HTML을 파싱한다. - DOM Tree는 문서 객체 모델로 모든 요소, 속성, 텍스트 등 (문서노드, 요소노드, 속성노드, 텍스트노드)을 트리 구조로 표현한 ..

Javascript DOM(Document Object Model)과 BOM(Browser Object Model) 일단 DOM(Document Object Model)과 BOM(Browser Object Model)을 알기 전에 Window 객체를 알아야합니다. Window Object 모든 브라우저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브라우저 전체를 담당하는 객체이자 최상위 객체입니다. Window 객체에는 DOM, BOM 그리고 Javascript Core가 있습니다.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 객체 지향의 모델로서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프로그래밍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동적으로 문서의 내용, 구조,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