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router.push(동일path)일 경우 에러가 나고 새로 고침을 하자니 SPA페이지에서 낭비인 것 같기도 해서 어떤 방식을 써야하나? 고민을 하다가 찾은 방식. (기록을 위한 작성) 검색하다가 알게된 블로그에서 3가지 방식을 알려주고 있었다. v-if 방식, forceUpdate 방식, 그리고 key를 통한 방식. 가장 추천하는 방식으로 (vue가 원하는..?) 진행했다. 레이아웃 단계에서 진행. base-header 컴포넌트에 gnb가 있으며 nuxt 컴포넌트는 페이지이다. // BaseLayout.vue // base-header.vue {{nav.name}} // .... * 출처: 3가지 방식을 안내해줌 https://michaelnthiessen.com/force-re-render/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6q63J/btrcUlLX3nx/KhwDnEH2DBw1WLh0LxylX1/img.png)
Nuxt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중에 Rendering mode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SPA나 SSR 방식은 알고있다고 생각했는데, Universal은 뭘까? 간단히 알아보기로 했다. SSG (Server Side Generation or Static Side Generation) (참고: https://velog.io/@longroadhome/FE-SSRServer-Side-Rendering-%EA%B7%B8%EB%A6%AC%EA%B3%A0-SSGStatic-Site-Generation-feat.-NEXT%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 Nuxt Universal Mode? 먼저 짧게 요약하자면 몇 가지 기능을 포함하여 SSR과 CSR 방식 둘 다 상..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초
- 아티클
- TypeScript
- 강의
- JavaScript
- Method
- jQuery
- VUE
- 코딩애플
- 공부
- vue.js
- 제로초
- 리액트
- 프론트엔드
- frontend
- html
- 메서드
- React
- 브라우저
- 제이쿼리
- 프로젝트
- 통신
- 차이
- JS
- 타입스크립트
- Article
- 뷰
- 자바스크립트
- Study
- c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