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 DOM(Document Object Model)과 BOM(Browser Object Model) 일단 DOM(Document Object Model)과 BOM(Browser Object Model)을 알기 전에 Window 객체를 알아야합니다. Window Object 모든 브라우저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브라우저 전체를 담당하는 객체이자 최상위 객체입니다. Window 객체에는 DOM, BOM 그리고 Javascript Core가 있습니다.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 객체 지향의 모델로서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프로그래밍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동적으로 문서의 내용, 구조,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프론트엔드 전반" 포스팅을보고 공부하면서 요약해보자! CSR(Client Side Rendering)과 SSR(Server Side Rendering) SPA (Single Page Application) 하나의 HTML 파일을 기반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동적으로 화면의 컨텐츠를 바꾸는 방식 MPA (Multiple Page Application)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웹 서버가 요청한 UI와 필요한 데이터를 HTML로 파싱해서 보여주는 방식 전통적인 방식 SPA - CSR MPA - SSR CSR SSR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원리 렌더링엔진이 HTML, CSS, Javasript 렌더링 시에 CRP(Critical Rendering PAth) 프로세스로 진행 과정 HTML 파싱, DOM(..

플래닝 포커(Planning Poker) 의미 " 다른 말로 스크럼 포커(Scrum Poker) 라고도 불린다. 추정을 위한 합의 기반 기술(consensus-based technique)로써 대부분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개발 목표를 위한 공수 산정이나 상대적 규모산정에 사용된다. 플래닝 포커에서 그 그룹의 구성원들은 공수 산정 시에 입으로 크게 말하는 대신에 숫자로된 카드를 테이블에 엎어놓는 방식으로 놀이처럼 진행한다. 그 카드들을 확인 하면서 해당 공수들이 논의된다. 숫자를 숨기는 이런 방식은 구성원들의 편향적인 고정관념을 피할수 있게 해준다. 누군가 처음 숫자를 크게 말하면서 다음 사람들의 공수 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것 처럼 말이다. " - 위키 백과 즉 일정을 세우기 위한 전략이다. 사용..

Chrome 86 업데이트 :focus-visible, Quick Focus Highlight (접근성) :focus-visible :focus와 같아 보일 수 있으나 :focus-visible은 키보드를 통해 탭할때에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 :focus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Firefox의 :-moz-focusring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동일하지 않다. 웹 외에 키보드 입력을 지원하는 모든 요소에서 사용된다. 도입이유 외관상의 이유로 클릭을 받았을때 :focus를 css로 비활성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안티패턴으로 분리된다. :focus를 비활성화할 경우 저시력, 인지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접근성 문제가 야기되기때문에 :focus와 분리된 :focus-visible이 추가되었다. 테스트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