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기에 앞서... 전체적인 가이드는 근둥이님 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 https://codevkr.tistory.com/58?category=719250 쪼랩이라 예전에 채팅구현을 도전했다가 허접하게 마무리되었었는데, 근둥이님 블로그보니까 설명이 잘되어있어서 무리없이 진행했습니다. 제 글이 이해가 안된다면 근둥이님 블로그 글을 찾아가는것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굽신-감사합니다.) 예전에 작업했을때 이해못했던 부분이, 역할 담당의 부분인데, 결론은 이거였습니다. 서버는 express 담당, 통신은 socket.io 담당한다. express와 socket.io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정리를 어마무시하게 잘해두신 블로거님들 링크를 달아둘데니, 들어가서보셔도 되고, 검색해봐도 됩니..

이전 포스팅 바로가기 이전에 포스팅에서 minify, merge를 진행해봤었는데요, 이번엔 자동화를 시켜보겠습니다. gulp 실행후 minify, merge가 끝나고나서, 다시 원본파일을 수정하면 cmd에 gulp를 입력해서 실행해야하기때문에, 이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자동화를 시켜보도록하겠습니다. 자동화는 gulp의 메소드 watch를 이용해서 실행합니다. watch는 gulp의 메서드로 제공되고 있으며 내가 지정한 파일을 지켜보고 있다가 그 파일에 변화가 생기면 자동으로 설정된 행동을 진행해줍니다. 지난 코드에서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gulpfile.js const gulp = require('gulp'); const concat = require('gulp-concat'); const uglify ..

*가 적혀있는 단어에 대한 뜻은 최하단에 있습니다. TypeScript를 공부해볼까하면서 찾아본 튜토리얼 사이트에서 gulp를 마주했습니다. https://typescript-kr.github.io/pages/tutorials/Gulp.html 그리고 튜토리얼 따라하는도중 에러가 뜨게되었는데, gulp에 대한 지식이 1도 없었기 때문에 찾고 공부한 내용을 작성해둡니다. 에러사항 AssertionError [ERR_ASSERTION]: Task function must be specified 검색하면 첫번째로 나오는 감사한 블로그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gulp의 버전이 4가 되면서 작성 규칙이 조금 바뀌었다고 합니다. https://forgiveall.tistory.com/521 task룰에 series..

gulp 이해를 돕는데 가장 많이 도움을 받은 블로그입니다. 단계씩 작성해주신 글만 따라가도 잘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예제를 따라하면서 자세하지 않았거나 몰랐던 부분 같은 것을 기억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도움을 받은 블로그에서는 약간의 지식이 깔려있어야한 듯 싶습니다.) https://valuefactory.tistory.com/314 = https://programmingsummaries.tistory.com/393 gulp란? gulp시작하기 gulp 시작하기 gulp.js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사용 방법들을 정리했습니다. gulp 개념 gulp 는 node.js 기반의 task runner 입니다. 반복적인 귀찮은 작업들이나 프론트엔드 빌드에 필요한 작업들.. valuefac..